#>vi /etc/yum.repos.d/CentOS-Base.repo
[base]제일밑에 enabled=0추가
[updates] 도 위와 같이
[extras] 도 위와 같이
#>vi /etc/yum.repos.d/CentOS-Media.repo
baseurl = file:///mnt/dvd (마운트 자리 )
enabled = 0 -> 1로 변경
2013년 5월 23일 목요일
2013년 5월 8일 수요일
[ Linux ][ php ] 인스톨 yum
Linux php 인스톨 순서
[root@linux ~]# yum list | grep php
[root@linux ~]# yum -y install php
[root@linux ~]# yum -y install php-devel php-gd php-mbstring php-mysql php-pdo php-pear php-xml php-imap
[root@linux ~]# yum list | grep php
[root@linux ~]# yum -y install php
[root@linux ~]# yum -y install php-devel php-gd php-mbstring php-mysql php-pdo php-pear php-xml php-imap
2013년 4월 15일 월요일
2013년 4월 2일 화요일
[ linux ] fedora 12 install dell e5500 nomodeset 리눅스 인스톨
dell e5500에
fedora 12를 까는데
부팅후 동작이 이상하다.
http://fedoraproject.org/wiki/Common_F12_bugs
위를 참조해 보니,
gma4500 그래픽카드 어쩌구 저쩌구 충돌
자 그럼 처음부터 다시 인스톨
인스톨 첫화면에 [tab] 키를 누르면 옵션을 줄 수 있다
젤뒤에 한 칸 띄고 nomodeset 옵션을 넣자
2012년 7월 20일 금요일
[MySql] Fedora Mysql yum 으로 설치 (InnoDB용)
설치
#>yum install mysql mysql-server
실행
#> /etc/rc.d/init.d/mysqld start
함 드가본다
#>mysql -u -p
Innodb확인 함 해보고
mysql>show variables like 'have_innodb';
자동 실행 설정
#>chkconfig mysqld on
my.cnf복사
#>cp /usr/share/mysql/my-huge.cnf /etc/my.cnf
my.cnf 수정
#>vi /etc/my.cnf
[client]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[mysqld]
init_connect = SET collation_connection = utf8_general_ci
init_connect = SET NAMES utf8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character-set-server = utf8
collation-server = utf8_general_ci
[mysqldump]
default-character-set=utf8
[mysql]
default-character-set=utf8
비밀번호 설정
# >mysqladmin -u root password '설정비밀번호'
2012년 2월 23일 목요일
[linux] 톰캣 https 설정
server.xml있는폴더로 가서
#>keytool -genkey -alias tomcat -keyalg RSA
and specify a password value of "changeit".
걍 패스워드는 위에걸로하고
Uncomment the "SSL HTTP/1.1 Connector" entry in
$CATALINA_HOME/conf/server.xml
and tweak as necessary.
server.xml파일에서 8443포트 의 주석을 지워준다.
8443을 443으로 바꿔준다.
https://IP/로 확인(뒤에 :8443)안써도 되는것 확인.
라우터의 방화벽도 한번 확인
물론 리눅스의 방호벽도 확인.
참고로 삭제시에는..
># keytool -delete -alias tomcat -keyalg RSA
8443을 443으로 바꿔준다.
https://IP/로 확인(뒤에 :8443)안써도 되는것 확인.
라우터의 방화벽도 한번 확인
물론 리눅스의 방호벽도 확인.
참고로 삭제시에는..
># keytool -delete -alias tomcat -keyalg RSA
[linux]tomcat port redirect (80 to 8080) / 톰캣 포트 변경
#>iptables -A PREROUTING -t nat -i eth0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8080
#>service iptables SAVE
#>service iptables restart
eth0은 네트워크 카드에 맞게..
2012년 1월 26일 목요일
[Linux] clamav
yum으로 설치
yum install clamav clamav-update
설정파일 변경
/etc/freshclam.conf 열어서
Example이라고 되있는 곳 삭제
DatabaseMirror db.XY.clamav.net 으로 되있는 곳
XY를 US로 변경
바이러스 디비 업데이트
freshclam
전체 파일 검사 (감염된 파일만)
clamscan -r --infect /*
윗것을 크론으로 등록하면 될듯..
yum install clamav clamav-update
설정파일 변경
/etc/freshclam.conf 열어서
Example이라고 되있는 곳 삭제
DatabaseMirror db.XY.clamav.net 으로 되있는 곳
XY를 US로 변경
바이러스 디비 업데이트
freshclam
전체 파일 검사 (감염된 파일만)
clamscan -r --infect /*
윗것을 크론으로 등록하면 될듯..
2011년 11월 8일 화요일
[linux] TOMCAT 설치 / 톰캣 설치
JAVA설치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/downloads/index.html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business/downloads/java-archive-downloads-javase6-419409.html
jdk-6u33-linux-i586.bin을 다운로드 했다
#>chmod 77 jdk-6u33-linux-i586.bin
#> ./jdk-6u33-linux-i586.bin
#>mv jdk1.6.0_33 /usr/local/jdk1.6.0_33
#> vi /etc/profile 을 열어서 아래 추가
export JAVA_HOME=/usr/local/jdk1.6.0_33
export PATH=$JAVA_HOME/bin:$PATH
톰캣 다운로드
http://tomcat.apache.org/
apache-tomcat-6.0.33.tar.gz 다운로드
압축풀고
tar -xvf apache-tomcat-6.0.33.tar.gz
톰캣 실행
/usr/local/apache-tomcat-6.0.33/bin/에가서./startup.sh 실행
방화벽설정 변경
#> vi /etc/sysconfig/iptables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8080 -j ACCEPT
동작 확인
http://서버IP:8080
톰캣 자동 실행 설정
#>vi /etc/rc.d/init.d/tomcat 파일 생성해서 아래대로 쓴다
Mysql설치 보기
톰캣 포트 변경 보기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/downloads/index.html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business/downloads/java-archive-downloads-javase6-419409.html
jdk-6u33-linux-i586.bin을 다운로드 했다
#>chmod 77 jdk-6u33-linux-i586.bin
#> ./jdk-6u33-linux-i586.bin
#>mv jdk1.6.0_33 /usr/local/jdk1.6.0_33
#> vi /etc/profile 을 열어서 아래 추가
export JAVA_HOME=/usr/local/jdk1.6.0_33
export PATH=$JAVA_HOME/bin:$PATH
톰캣 다운로드
http://tomcat.apache.org/
apache-tomcat-6.0.33.tar.gz 다운로드
압축풀고
tar -xvf apache-tomcat-6.0.33.tar.gz
톰캣 실행
/usr/local/apache-tomcat-6.0.33/bin/에가서./startup.sh 실행
방화벽설정 변경
#> vi /etc/sysconfig/iptables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8080 -j ACCEPT
동작 확인
http://서버IP:8080
톰캣 자동 실행 설정
#>vi /etc/rc.d/init.d/tomcat 파일 생성해서 아래대로 쓴다
#!/bin/sh
# Source function library.
. /etc/rc.d/init.d/functions
. /etc/rc.d/init.d/functions
source /etc/profile
export TOMCAT_HOME=/usr/local/apache-tomcat-6.0.33
# See how we were called.
case "$1" in
start)
echo -n "Starting tomcat EXPERIMENTAL: "
daemon $TOMCAT_HOME/bin/startup.sh
echo
;;
stop)
echo -n "Shutting down tomcat EXPERIMENTAL: "
daemon $TOMCAT_HOME/bin/shutdown.sh
echo
;;
restart)
$0 stop
$0 start
;;
*)
echo "Usage: $0 {start|stop|restart}"
exit 1
esac
exit 0
링크 걸기
# cd /etc/rc.d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3.d/S90tomcat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5.d/S90tomcat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6.d/K90tomcat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3.d/S90tomcat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5.d/S90tomcat
# ln -s ../init.d/tomcat ./rc6.d/K90tomcat
Mysql설치 보기
톰캣 포트 변경 보기
[linux] 아파치 설치
yum 을 이용해서 아파치 설치
#> yum install httpd httpd-manual
설치후 IP테이블변경
#>iptables -I INPUT -p tcp -m tcp --dport http -j ACCEPT
#>#/etc/rc.d/init.d/iptables save
아파치 기동
#>service httpd start
자동기동 설정
#>chkconfig httpd on
확인
브라우져에서
http://localhost/
아파치가 보이면 굿잡
#> yum install httpd httpd-manual
설치후 IP테이블변경
#>iptables -I INPUT -p tcp -m tcp --dport http -j ACCEPT
#>#/etc/rc.d/init.d/iptables save
아파치 기동
#>service httpd start
자동기동 설정
#>chkconfig httpd on
확인
브라우져에서
http://localhost/
아파치가 보이면 굿잡
[linux] 다이나믹 DNS설정
무료 사이트
http://www.mydns.jp 에 등록한후
등록 아이디랑 비번을 등록한다.
주기적으로 억섹스를 해서 현재 IP를 서비스 쪽에 전달하는 방법이다.
#>crontab -e
0,30 * * * * wget -q --spider --http-user=xxxxxxxx --http-password=xxxxxxxx http://www.mydns.jp/login.html
확인하기
#>nslookup www.등록사이트명
http://www.mydns.jp 에 등록한후
등록 아이디랑 비번을 등록한다.
주기적으로 억섹스를 해서 현재 IP를 서비스 쪽에 전달하는 방법이다.
#>crontab -e
0,30 * * * * wget -q --spider --http-user=xxxxxxxx --http-password=xxxxxxxx http://www.mydns.jp/login.html
확인하기
#>nslookup www.등록사이트명
[linux] SSHD설정
#> vi /etc/ssh/sshd_config
AllowUsers kim (추가)
SSHD기동
#>/etc/rc.d/init.d/sshd start
#>chkconfig sshd on
윈도우컴터에 TeraTerm 깔고 접속.
테라텀 다운로드는 우상단 사이트 참조
AllowUsers kim (추가)
SSHD기동
#>/etc/rc.d/init.d/sshd start
#>chkconfig sshd on
윈도우컴터에 TeraTerm 깔고 접속.
테라텀 다운로드는 우상단 사이트 참조
[linux] 리눅스 설치 (fedora12) 네트워크 설정 / fedora 인스톨 설치
fedora 12 일본에서 설치했을때 화면 캡쳐
Reboot한 뒤
터미널로 들어가서 네트워크 매니져 끄기
#>/etc/rc.d/init.d/NetworkManager stop
자동실행 끄기
#>chkconfig NetworkManager off
Network설정( DYNAMIC DNS 사용시)
#>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ONBOOT=NO -> YES 변경
추가입력
DNS1=192.168.24.1 (라우터 주소)
IPADDR=192.168.24.41 (라우터에서 할당한 주소)
NETMASK=255.255.255.0
NETWORK=192.168.24.0
BROADCAST=192.168.24.255
#>vi /etc/sysconfig/network
추가입력
GATEWAY=192.168.24.1 (라우터주소)
네트워크 시작
#>service network restart
자동실행
#>chkconfig network on
인터넷 되나 확인하고 우선 설치에서 네트워크 설정은 끝.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